대한수면연구학회

메뉴열기
메뉴닫기

회원마당

공지사항

home  >  회원마당  >  공지사항 확대 축소 인쇄
[칼럼][수면과 뇌 ①] 중요 신경과질환 중 하나인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순천향대학교천안병원 신경과 양광익 교수, 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정기영 교수) By 최은진 / 2022-03-24 PM 9:12 / 조회 : 4,493회

[수면과 뇌 ①] 중요 신경과질환 중 하나인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신경과 진료실에는 두통을 포함한 신체 각 부위 통증 및 어지럼증, 무기력, 기억력 감퇴, 치매, 뇌졸중 등 다양한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방문한다. 이런 질환에는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이 동반된 경우가 많은데 수면무호흡은 수면 중 상기도의 완전(무호흡) 또는 부분적(저호흡) 폐쇄로 인하여 공기의 흐름이 제한되고, 산소포화도가 감소되며, 수면중 교감신경이 증가하여 혈압과 맥박의 상승을 초래한다. 이로 인하여 수면의 질이 떨어져 자고 나도 개운치 않고, 기상 후 두통, 주간 졸림, 피로, 이유 없는 기분 저하나 집중력 저하와 같은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며, 결국에는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치료를 하지 않고 장기간 지속될 경우, 뇌졸중을 포함한 심뇌혈관계 질환 및 대사증후군 원인이 된다.

수면무호흡 환자에게 흔히 관찰되는 코골이는 폐쇄수면무호흡의 한 현상으로서 영어로는 스노링(snoring)이며, 깨어 있을 때는 괜찮다가 잠이 들어야 발생하는 것으로, 수면 중에 이런 상기도폐쇄에 의해 공기가 통과하면서 생긴 기압 차 때문에 이완된 연구개 및 주위 구조물들이 진동하여 생기는 호흡 잡음이다. 따라서 대한수면연구학회에서는 ‘(수면)숨골이’라는 용어가 ‘코골이’보다는 소리 및 수면무호흡의 발생기전을 더 잘 반영하므로 앞으로 이렇게 명칭할 것을 제안한 바 있다. 코골이 자체보다는 이와 연관된 수면무호흡이 고혈압, 심방세동, 관상동맥 질환과 심근경색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신경과에서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이 뇌졸중 및 치매의 강력한 위험인자로 밝혀졌기 때문에 제대로 진단하고 치료해야 하는 중요 질환으로 적극 다루어 왔다. 이는 적절한 치료를 통해 다양한 신경과 질환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심장-뇌졸중학회에서는 뇌졸중 환자에게 폐쇄수면무호흡이 있는지 확인해야 하고 적절한 치료를 해야 한다고 하였다. 특히 중등도 이상의 수면무호흡 환자를 대상으로 한 양압기 치료는 뇌-심혈관 질환의 예방에 효과가 있어, 미국 수면학회에서는 중등도 이상의 폐쇄수면무호흡환자 에게 가장 먼저 양압기치료를 선택하라고 권고하고 있다.

양압기에는 압력 전달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는데, 그 중에서도 지속양압기는 마스크를 통해 단일 압력을 코나 입으로 유입시켜 상기도로 전달함으로써 상기도 폐쇄를 막아주는 장비다. 자동양압기는 기계자체 센서 및 알고리듬에 의해 무호흡-저호흡을 감지해서 압력이 오르락 내리락하며 상기도 폐쇄를 막아주는 방식이다. 미국 수면학회에서는 심부전, 심뇌혈관질환 등 만성질환 및 중추수면무호흡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우 자동양압기 사용은 자제하길 권고하고 있다. 만약 자동양압기를 사용한 후 순응도가 떨어지고 효과를 느끼지 못한다면 적정양압검사를 통한 단일지속양압기 사용을 권고한다. 양압기 사용 초기의 부적절한 압력 처방은 오히려 순응도를 떨어뜨리고 향후 적절한 양압기 사용에 대한 부정적 편견을 만들 수 있으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환자가 잘 사용할 수 있도록 수면무호흡에 대한 교육과 정기적인 순응도 평가 및 관리에 대한 의료진의 역할도 중요하다.

코골이는 수면무호흡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두통, 피로를 포함해 다양한 신경과 증상을 동반하면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단순 코골이인지 내지는 수면무호흡의 정도를 정확하게 진단받아야 한다. 수면무호흡증은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함으로써 증상을 개선시키거나 악화를 예방할 수 있다. 비만은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이므로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적절한 운동으로 근육의 탄력성을 유지하면 수면중 무호흡의 빈도 및 강도를 완화시킬 수 있겠다. 저녁에 과식과 음주는 코골이와 무호흡을 악화시키는 요인이므로 주의해야 하며, 규칙적인 수면습관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은 동반된 신경과 질환의 치료와 더불어 뇌졸중과 같은 만성질환으로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헬스조선 :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2032201143&ref=no_ref 

위 링크를 클릭하시면 칼럼기사로 이동합니다.

20

번호 제목 파일 작성자 조회수 작성일
공지 [대한수면연구학회] 2025년 5월 집담회 일정을 안내드립니다. . 사무국 213 2025-05-13
공지 [대한수면연구학회] 2025년 정기 학술대회 사전등록, 초록접수 안내 (온라인 사이트 오픈). 사무국 271 2025-05-09
공지 ★ [대한수면연구학회] 2025년 대한수면연구학회 학술연구비 공모 안내 (~4/25까지). 박연진 1,760 2025-02-14
공지 [이수증 발급 안내] 수면다원검사 정도관리위원회 평점 참가확인증 발급은 메일 문의 부탁드립니다.. 박연진 2,245 2024-11-25
공지 ■ 회원가입 안내 : 연회비를 납부해주시면, 회원가입 승인이 완료되는 점을 안내드립니다:). 박연진 2,847 2024-10-07
공지 [대한수면연구학회] 수면다원검사 교육이수자 제도 소개. 박연진 9,648 2022-11-09
공지 학회 회원자격 안내. 관리자 17,938 2018-05-14
312 [Youtube 업데이트] 세계 수면의 날 특집 - 편안한 잠으로 만드는 건강한 정신과 행복한 세상 최은진 3,229 2022-04-15
311 [대한수면연구학회] MSLT 설문조사 결과 안내 최은진 5,313 2022-04-13
310 [대한수면연구학회 Youtube 업데이트] 제 14화 - 20화 최은진 2,605 2022-04-12
309 [칼럼][수면과 뇌③]중요 신경과 질환의 하나인 불면증(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신경과 조용원, 김근태 교수) 최은진 3,103 2022-04-06
308 [Youtube 업데이트] 세계 수면의 날 특집 - 편안한 잠으로 만드는 건강한 정신과 행복한 세상 최은진 1,605 2022-04-06
307 [칼럼][수면과 뇌②]건강한 수면으로 통증을 치료하라(전남대학교병원 신경과 강경욱) 최은진 4,733 2022-03-31
306 [칼럼][수면과 뇌 ①] 중요 신경과질환 중 하나인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순천향대학교천안병원 신경과 양광익 교수, 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정기영 교수) 최은진 4,493 2022-03-24
305 잠 안 와도 계속 누워 있어라? 어두운 거실로 나가 잠시 휴식을 최은진 3,342 2022-03-18
304 수면산업 실증기반 구축 및 기술 고도화 지원사업 수혜기업 모집 공고 최은진 1,762 2022-03-14
303 [대한수면연구학회 Youtube 업데이트] 제 13화 최은진 2,181 2022-03-08
302 [대한수면연구학회 Youtube 업데이트] 제 12화 최은진 2,726 2022-03-08
301 [대한수면연구학회 Youtube 업데이트] 제 11화 "건강한 수면을 도와주는 건강한 운동!" 최은진 1,499 2022-03-08
300 [대한수면연구학회] 2022년도 학술연구비 공모 최은진 3,104 2022-03-03
299 [대한수면연구학회 Youtube 업데이트] 제 10화 최은진 3,119 2021-12-30
298 [대한수면연구학회 Youtube 업데이트] 제 9화 최은진 3,546 2021-11-10
297 [대한수면연구학회 Youtube 업데이트] 제 7-8화 최은진 5,446 2021-10-08
296 [대한수면연구학회 Youtube 업데이트] 제 6화 최은진 4,035 2021-09-15
295 [대한수면연구학회] 2021년 대한수면연구학회 보수교육 안내 최은진 4,332 2021-09-10
294 [대한수면연구학회] RLS 홈페이지 오픈 안내 최은진 3,117 2021-08-27
293 대한수면연구학회 제 2회 수면연구 Webinar 다시보기 안내 최은진 3,898 2021-08-04
첫페이지 이전페이지 1 2 3 4 5 다음페이지 마지막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