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도 대한수면연구학회 정기학술대회가 7월 5일(토)와 6일(일) 양일간 백범김구기념관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정기학술대회 주제는 ‘수면의학의 현재와 미래를 잇다’였습니다. 전국의 수면 전문가 약 400명이 참석한 자리에서 기초과학부터 임상응용, 인공지능 기반의 디지털 수면 솔루션까지 수면의학의 확장성과 혁신 가능성을 조망하는 논의가 이어졌습니다.
총 43개 세션에서 110개의 강의가 진행됐습니다.
첫째 날 특별 세션(Presidential Symposium)에서는 슬립테크의 현재와 미래를 조명했습니다. 삼정 KPMG 박경수 상무는 국내외 슬립테크 산업 동향과 시장 전망을 짚으며 “수면의 질 관리가 개인 맞춤형 의료로 진화하는 중심축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으며, 에이슬립 이동헌 대표는 스마트폰으로 사용자의 수면 소리를 분석해 수면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디지털 의료기기 '앱노트락'을 소개하며 기존 수면검사의 대안을 제시했습니다.
'Journal of Sleep Medicine(JSM)' 우수 논문 시상과 강의도 있었습니다. 올해 최우수 논문상은 이대서울병원 신경과 배효은 교수에게 돌아갔으며, 수상 논문은 ‘이산화탄소 노출이 불면증 수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엔벨롭 분석을 이용한 연구'로, 환경요인이 수면 구조에 미치는 생리적 변화를 정밀하게 분석해 주목받았습니다.
우수논문상은 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 수면의학연구소 유재성 연구원의 ‘메타버스를 활용한 인지행동치료(CBT-I) 연구’, 삼성서울병원 박정호 교수의 ‘액티그래피 데이터 기반 수면장애 예측 딥러닝 연구’가 각각 선정되었습니다. 이러한 수상결과는 수면의학이 디지털 기술과 융합하며 확장되는 흐름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면무호흡증, 불면증 등 각 수면 장애별로 최신 지견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Year in Review' 세션도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둘째 날 역시 요즘 화두가 되고 있는 AI나 Emerging technique뿐만 아니라 다양한 수면장애를 주제로 각종 발표와 강의 세션이 열렸습니다. 또한 수면다원검사 기본교육과 연수교육 평점을 위한 workshop도 성황리에 진행되었습니다.
신원철 회장님은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기초과학에서부터 임상응용, 디지털 헬스 및 인공지능까지 수면의학의 다양한 분야가 어우러져 학문적 성장과 협력의 장이 되길 기대한다"며 "국내외 연구자들이 서로 교류하며 협력의 폭을 넓히고 수면의학의 밝은 미래를 함께 그려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소감을 밝히셨습니다.
학술대회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