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Undefined variable $bname in /home/sleepnet/htdocs/core/classes/common.lib.php on line 215

Warning: Undefined variable $bname in /home/sleepnet/htdocs/core/classes/common.lib.php on line 215
대한수면연구학회

대한수면연구학회

메뉴열기 메뉴닫기
닫기

학회 세부 규정

논문투고 규정(JSM) By 관리자 / 2019-08-27 AM 10:56 / 조회 : 23회

학회논문투고 규정

대한수면연구학회의 공식 학술지인 ‘Journal of Sleep Medicine’은 국제의학학술지 편집인위원회가 정한 ‘저자 자격 지침’을 따른다. 영문 공식 약칭은 J Sleep Med 이다.

 

[저자 자격]

논문의 저자는 연구 내용에 대하여 공적 책임을 질 수 있을 만큼 연구에 충분히 참여한 사람이어야 한다. 저자가 되기 위해서는 다음의 조건을 모두 갖추어야 한다. 각 저자가 연구에서 무슨 일을 맡았었는지를 편집인이 질문할 수 있다. 

 

[윤리 규정] 

‘Journal of Sleep Medicine’은 대한수면연구학회 연구윤리 규정과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에서 제정한 ‘의학논문 출판윤리 가이드라인(http://kamje.or.kr/publishing_ethics.html)’을 따른다.

연구의 대상이 사람인 경우, 헬싱키선언에 입각하여, 피험자 또는 보호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연구 참여 중 일어날 수 있는 정신적, 신체적 위해를 충분히 설명하고 시행되어야 한다. 연구의 대상이 사람 또는 동물인 경우 연구기관의 임상시험 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이를 본문에 명시한다. 편집인은 윤리 규정 준수 여부 및 임상시험 윤리위원회 승인여부를 질문할 수 있다.

 

[이해 충돌]

저자는 원고 내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재정지원이나 논문에 대한 이해 관계에 충돌이 있다면 이를 모두 논문 ‘표지’및 저자동의서에 밝혀야 한다. 편집인은 재정지원이나, 논문에 대한 이해 관계를 질문할 수 있다.

 

[저작권 이양 및 중복 또는 이중 게재] 

같은 내용의 원고를 다른 학술지와 기타 정기 간행물에 중복 또는 이중 게재할 수 없으며, 위반 사실이 있을 경우 편집인은 원고의 접수 취소, 또는 게재게재를 취소할 수 있다. 본 학회지에 게재된 원고는 임의로 타지에 전재할 수 없다. 본 학회지의 자료를 (Figure, graph 등) 인용할 경우 그 사실을 논문에 명시한다.

대한수면연구학회 학회지 Journal of Sleep Medicine 에 서면 허가를 받으면, 향후 이 논문과 관련된 저작권이 대한수면연구학회로 이전됨을 인정한다. 

모든 저자는 투고 전 저작권, 이해갈등, 연구윤리 규정 준수 (Copyright Transfer Agreement, Conflict of interest, Ethical statement) 내용에 동의 하여야 하며, 이를 ‘저자동의서’에 서명하여야 한다. 

 

[원고] 

저자는 원고를 ‘생의학 학술지에 투고하는 원고의 통일 양식(Uniform Requirements for Manuscripts Submitted to Biomedical Journals. Ann Intern Med 1997;126:36-47)’에 준해서 준비해야 한다. 원고는 한글 또는 영문으로 작성한다.

 

원고의 성격과 종류

수면과 관련된 독창성 있는 모든 임상적 혹은 실험적 논문을 수록한다. 원고의 종류는 원저, 종설, 증례보고, 임상화보, 편집인에게 보는 글 등으로 한다.

 

원저: 원저는 표지, 내표지, 영문초록, 서론 (Introduction), 방법 (Methods), 결과 (Results), 고찰(Discussion), 감사의 글, 참고문헌 (References), 그림 또는 사진과 설명, 표와 설명 순서로 원고를 준비한다. (초록은 250 단어 이내, 참고문헌은 45 개 이내, Key Words 는 6 개 이내로 제한한다.)

 

종설: 특정 제목에 초점을 맞춘 고찰이다. 편집위원회에서 위촉하여 게재할 수도 있다. 종설은 표지, 내표지, 영문초록, 서론 (Introduction), 본론 (Main text), 그리고 결론 (Conclusions) 감사의 글, 참고문헌 (References), 그림 또는 사진과 설명, 표와 설명 순서로 원고를 준비한다. (초록은 250 단어 이내, 참고문헌은 60 개 이내, Key Words 는 6 개 이내로 제한한다.)

 

증례보고: 증례는 표지, 내표지, 영문초록, 서론 (Introduction), 증례 (Case), 결론 (Conclusion), 감사의 글, 참고문헌 (References), 그림 또는 사진과 설명, 표와 설명 순서로 원고를 준비한다. (초록은 150 단어 이내, 참고문헌은 10 개 이내, Key Words 는 3 개 이내, 표와 그림의 수는 합하여 3 개 이내로 제한한다.)

 

임상화보: 임상화보는 사진을 통한 교육에 목적이 있다. (사진은 2 장 이내, 사진의 설명은 50 단어 이내, 증례의 요약은 200 단어 이내, 참고문헌은 3 개 이내로 제한한다.)

 

편집인에게 보내는 글: 최근 1 년간 Journal of Sleep Medicine 에 출판된 특정 논문에 대한 건설적인 비평 또는 의견을 서술할 수 있다. 이 글은 편집인에 의해 게재여부가 결정된다. (단어 수 500 단어 이내, 참고문헌은 5 개 이내로 제한한다.)

 

<제목 (Title)>: 논문의 제목은 논문 내용을 전달할 수 있는 최소한의 단어로 기술하고, 국문은 40 자, 영문은 20 단어 이내로 한다. 영문제목의 경우 명사와 형용사는 첫 자를 대문자로 표기한다.

 

<표지 (Title Page)>: 원고의 표지에서 영문제목, 영문저자명 소속,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정보 (이름, 주소, 전화번호, 팩스번호, 전자메일 주소 등)을 명시한다. 국문 제목, 저자명, 소속을 같이 표기 할 수 있다. 저자들의 소속은 오른쪽 어깨 번호로 소속과 저자명을 일치시킨다. 

영문저자명은 약자로 표시하지 않는다.

원고 내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재정지원이나 논문에 대한 이해 관계에 충돌이 있다면 이를 기술한다.

 

<내표지>: 내표지에는 영문 제목만을 포함하며, 한글 제목도 포함할 수 있다. 저자의 이름, 소속 등은 일체 포함시키지 않는다.

 

<초록>: 영문으로 작성한다. 원저의 경우 Objectives, Methods, Results, Conclusions 의 순서로 준비한다. 종설, 증례보고는 한 단락으로 준비한다. 임상화보와 편집인에게 보내는 글은 초록을 포함하지 않는다. 초록에서는 참고문헌을 인용할 수 없다.

 

: 초록 하단에는 Key Words 를 기재하며 영문으로 Index Medicus 의 주제색인(MeSH-Medical Subject Headlines)에 있는 단어를 사용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서론>: 연구의 목적을 간결하고 명료하게 제시하며 배경에 관한 기술은 목적과 연관이 있는 내용을 포함한다.

 

<방법>: 연구의 계획, 대상과 방법을 순서대로 기술한다. 환자의 진단을 어떻게 확인하였는지, 자료를 어떻게 분석하였는지를 상세히 기록한다. 실험 방법이 주안점인 경우 재현 가능하도록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기계 및 약품의 경우 괄호 안에 제조 회사, 도시 및 국적을 기입한다.

 

<결과>: 연구 결과를 명료하고 논리적으로 나열하고, 실험인 경우 실측치에 변동이 많은 생물학적 계측에서는 통계처리를 원칙으로 한다. 표를 사용할 경우 논문에 표의 내용을 중복 기술하지는 않으나, 중요한 경향과 요점은 간략히 기술할 수 있다.

 

<고찰>: 연구 결과에 대해 다른 연관자료와 비교 분석하면서 고찰한다. 새롭고 중요한 관찰을 강조하며, 결과의 내용을 중복 기술하지 않는다. 관찰한 소견의 의미 및 한계점을 기술하며, 연구 결과의 내용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결론과 연구의 목적을 연관시킨다. 필요한 경우, 마지막 문단에 결과에 근거한 결론을 간략히 기술할 수 있다.

 

<증례보고>: 서론은 증례와 연관된 배경과 의의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증례는 환자의 진단과 치료 과정을 간략하게 기재하되 장황 하지 않아야 하며, 고찰은 증례가 강조하고 있는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하되 그 질환에 대한 전반적이고 장황한 문헌 고찰은 피한다.

 

<감사의 글>: 본 연구에 기여하였으나 공동저자에 하기 미흡한 사람에 대한 감사의 글을 넣을 수 있다. 연구 기여자의 구체적인 역할에 대해 감사를 표현하여야 하며(예를 들면, 자료 수집, 재정적 보조, 통계 처리, 실험 분석 등), 저자는 당사자에게 감사의 글에 이름을 기재한다는 사실을 통보하고 사전에 동의를 받아야 한다.

 

<참고문헌>: 참고문헌은 “생의학 학술지에 투고하는 원고의 통일 양식”의 밴쿠버 표기 양식(Vancouver style)을 따라야 한다. 다음의 예제를 참고한다. 

국내 문헌을 포함한 모든 문헌은 영문으로 기재하여야 한다.

참고문헌은 본문에서 인용한 순서에 따라 새 쪽(페이지)에 아라비아 숫자 번호와 함께 기록하고 본문에는 어깨번호를 붙여야 한다.

한 곳의 인용할 참고문헌이 2 개 이상인 경우에는 빈 여백 없이 콤마(,)로 문헌번호를 구분하고, 3 개 이상인 경우에는 하이픈(-)을 사용 한다(예: 3-5 또는 3-5,7).

6 인 이하 저자인 경우는 전원을 기록하며, 7 인 이상인 경우는 최초 3 인 후에 “et al.”로 끝 맺는다. 학술지명의 표기는 Index Medicus 의 공인 약어를 사용하고, 이탤릭체를 사용한다. 

인용문헌의 페이지 숫자는 처음과 끝을 일부 생략 없이 완전히 기술한다.

출판하지 않은 자료는 참고문헌에 기술할 수 없으며, 부득이 인용하고자 하는 경우 본문에 괄호하고 “(홍길동, 개인적 의견 교환)” 혹은“(홍길동, 미출간 데이터)”와 같이 기술한다. 출판 중(in press)인 논문을 인용할 경우, 그 원고를 심사과정에서 참조할 수 있도록 편집 위원회로 함께 보내야 한다.

 

잡지: 저자명. 논문제목. 잡지명 연도;권수:면수. 

(예 1) Lee KS, Choi IS. A clinical study of brain tuberculomas based upon 20 case records. J Korean Neurol Assoc 1985;3:241-253.

(예 2) Landrigan CP, Rothschild JM, Cronin JW, et al. Effect of reducing interns’ work hours on serious medical errors in intensive care units. N Engl J Med 2004;351:1838- 1848.

(예 3) Currie LJ, Harrison HB, Trugman JM, Bennett JP, Wooten GF. Early morning dystonia in Parkinson’s disease. Neurology 1998;51:283-285.

(예 4) Shen HM, Zhang QF. Risk assessment of nickel carcinogenicity and occupational lung cancer. Environ Health Perspect 1994;102 Suppl 1:275-282.

 

단행본: 저자명. 도서명. 발행판수. 발행지: 발행사, 연도;면수.

(예) Wyllie E. The treatmemt of epilepsy. 2nd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1997;97-98.

 

단행본 내의 chapter: 저자명. Chapter 제목. In: 편집자명. 도서명. 발행판수. 발행지: 발행사, 연도;면수. 

(예) Calne CB, Duvoision RFC, McGeer E. Speculation on the etiology of Parkinson’s disease. In: Hassler RG, Christ JF. Advances in neurology. 2nd ed. Vol. 40. New York: Raven Press, 1984;353-360.

 

전자 매체 자료

(예) Morse SS. Factors in the emergence of infectious diseases. Emerg Infect Dis [serial online] 

1995 Jan-Mar [cited 1996 Jun 5]; 1(1): [24 screens]. Available from 

URL:http://www.cdc.gov/ncidod/EID/eid.htm.

 

<그림 또는 사진>: 그림 또는 사진은 본문 (Manuscript) 파일에 삽입하여 올린다. 논문 심사 완료 시 출판을 위하여 image 파일로 다시 제출한다. 사진 또는 그림의 설명은 영문으로 기록한다. 제목은 절 혹은 구의 형태로 기술하고, 첫 단어의 첫 자를 대문자로 한다. 설명은 그림 아래에 문장의 형태로 기술한다. 본문에서 인용할 때, ‘Fig.’라는 표식 뒤에 한 칸을 띄고 본문 인용 순서대로 아라비아 숫자 번호를 사용한다. 동일 번호의 사진이나 그림이 2 개 이상인 경우, 아라비아 숫자 이후에 알파벳 글자를 기입하여 표시한다 (예: Figure 1A, Figure 1B).약어 사용시 해당표의 하단에 풀어서 설명하며 (예: FT: frontotemporal, PO: parietooccipital), 천연색 게재를 원하면 편집위원회에 출판 전에 알린다. 편집위원회에서 흑백사진을 천연색 사진으로 변경, 또는 화질이 떨어지는 경우 변경 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표>: 그림 또는 사진은 본문 (Manuscript) 파일에 삽입하여 올린다. 논문 심사 완료 시 출판을 위하여 원본을 요청할 수 있다. 표의 설명은 영문으로 기록한다. 제목은 절 혹은 구의 형태로 기술하고, 첫 단어의 첫 자를 대문자로 한다. 설명은 표 아래에 문장의 형태로 기술한다. 

표의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지 않고도 이해하기 쉬워야 하며 독자적인 기능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본문에서 인용할 때, ‘Table’라는 표식 뒤에 한 칸을 띄고 본문 인용 순서대로 아라비아 숫자 번호를 사용한다. 분량은 4 줄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1 쪽을 넘지 않는다. 약어 사용시 해당표의 하단에 풀어서 설명하며 (예: FT: frontotemporal, PO: parietooccipital), 그 위치는 기호설명 아래로 한다. 기호 사용 때 *, †, §, ∥, ¶, **, ††‡‡, ...의 순으로 하며 이를 하단 각주에 줄을 바꾸면서 설명한다.

 

<의학용어 및 측정단위>: 의학용어의 번역은 대한의사협회에서 발간한 최신판 의학용어집에 준한다. 적절한 번역어가 없는 의학 용어, 고유 명사, 약품명, 단위 등은 원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번역어가 있으나 의미 전달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용어가 최초로 등장할 때 번역어 다음 소괄호 속에 원어로 표기하고 이후에는 번역어만 사용한다. 영문약어의 사용은 최소화하며, 맨 처음 사용 할 때에는 원어를 풀어서 표기한 다음 괄호 안에 약어를 쓰고 이후에는 약어만 사용한다. 한자를 병용할 수 있다.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를, 도량형의 표현은 미터법 단위(미, 그램, 리터 등)를 사용한다. 온도는 섭씨 단위를, 혈압은 mm Hg 를 사용한다. 혈액학적 수치와 임상 검사상의 검사치는 통상적인 단위나 국제단위(International Unit, SI)를 사용한다.

 

[논문 심사 과정] 

편집위원회는 접수한 원고를 2 명의 심사위원에게 의뢰하여 심의를 받은 후, 게재 적합성에 대하여 최종 판정한다. 필요한 경우, 제 3 자 심사를 의뢰할 수 있다. 심사자는 저자 정보를 알 수 없다. 편집위원회는 내용이 변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자구 수정을 할 수 있다. 편집위원장은 접수한 원고 중 다음과 같은 경우에 심의 없이 저자에게 반송할 수 있다: 1) 본 잡지의 성격과 연관이 없는 원고, 2) 투고 규정을 준수하지 않은 원고, 3) 본 잡지의 학문적 수준에 현저히 미치지 못하는 원고. 

 

[교정쇄(Page Proofs)] 

저자는 출판사로부터 교정쇄를 받으면, 저자는 주의 깊게 오자나 원고와 잘못된 부분을 살펴보아야 하는 책임이 있다. 이때 이루어진 원고의 변화로 인해 마지막 수정본과 그 의미가 달라지지 않아야 한다. 교정쇄는 저자에 의해 교정되어야 하며 최종적으로 편집인이 확인한 후 출판한다.

 

[원고 제출]

원고는 대한수면연구학회 온라인 논문투고 홈페이지(https://jsm.jams.or.kr/co/main/jmMain.kci)를 통해 투고하며 게재료는 없다.표지 (Title page)는 ‘첨부파일’에 Microsoft Word 파일로 upload 한다. 본문 (Manuscript) 는 ‘Manuscript’에 upload 한다. 하나의 Microsoft Word 파일로 [내표지, 영문초록, 서론 (Introduction), 방법 (Methods), 결과 (Results), 고찰 (Conclusions), 감사의 글, 참고문헌 (References), 그림 또는 사진과 설명, 표와 설명]을 upload 한다. 저자 동의서는 ‘첨부파일’에 upload 한다. 저자동의서 파일은 (학회-> 학회소개 -> 학회논문투고 규정) 에서

찾을 수 있다.

 

<원고 투고 및 문의처>

대한수면연구학회

주소: 서울시 동작구 보라매로 5 길 20 (우) 07061

전자우편: koreasleep@empass.com

 

<규정의 발효>

1) 본 규정은 2004년 6월 20일부터 시행한다.

2) 본 규정은 2010년 12월 1일 개정, 시행한다.

3) 본 규정은 2013년 12월 31일 개정, 시행한다.

4) 본 규정은 2017년 4월 28 일 개정, 시행한다.

7

번호 제목 파일 작성자 조회수 작성일
7 재무위원회 규정 (2024.09.05 개정) 박연진 조회:83 2023-02-08
6 연구비 규정 (2022.10.05 개정) 관리자 조회:47 2022-11-03
5 논문투고 규정(JSM) 관리자 조회:24 2019-08-27
4 해외학술대회 참가 지원 규정 관리자 조회:25 2019-08-27
3 연구비 규정 관리자 조회:30 2019-08-27
2 연구윤리 규정 관리자 조회:29 2019-08-27
1 재무위원회 규정 관리자 조회:29 2019-08-27